임지_2010/JAN
28_JAN_2010
minial
2010. 1. 28. 11:25
경기도 인재개발원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강의들을 듣고 있다.
이번에 '몰입'을 선택해 봤다.
한참 유행했던 책 'flow'를 쉽게 강의형태로 바꾸어 놓은 듯 하다.
내용인 즉, 직장인들에게 의미있는 생활을 위해 몰입을 습관화 하자고 말하고 있다.
몰입을 통해 업무효율의 증대를 꾀하자는 취지로 만들었다는 것이 확연하지만,
실제로 몰입보다 더 중요한 개념은 '의미있는 생활'이다.
개인이 어떤 것이 의미있는 생활인지를 판단하고, 그것에 몰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직장생활은 몰입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자발적으로 발휘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주어진 일에 맞추어 생활하는 것이 더 중요한 시스템이지 않은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몰입하는 자세가 필요한 사람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개인의 몰입을 방해하는 것이 시스템을 유지하는 방편이 되고 있다는 것은
나만이 가진 생각은 아닐 것이다.
몰입이나 직장생활이나 어떤 패턴에 적응하는 사람들의 능력에는 타고난 차이가 있는 듯 하다.
나 개인의 경우는 개인의 문제에 몰입하는 외톨이 생활이 직장생활보다 더 쉽게 느껴지기에,
강의의 예에서도 보여진 것 처럼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경우지만,
그런 극단적 선택이 성공을 보장하리라는 시선에 시달리는 개인의 딜레마를 가지고 사는 것이고,
직장에 몸담고 있다면, 업무의 효율과 조화로운 인간관계사이, 개인의 능력과 팀웍의 딜레마 사이에서 살게 될것이다.
그저 각자 선택한 처지에서
각자의 목표를 향해 묵묵히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모습인 것을...
좀 더 잘하고, 좀 더 나아지려는 비교하는 생각들로 인해 마음에서 일어나는 욕심을 충족시키려고
다른 무언가를 또 찾아 헤메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몰입이라는 것을 남들보다 나아 보이려는 수단으로 이용하라고 독려하는 것 같아 씁쓸해진다.
어떤 것에 몰입하는 방법을 알기 전에 의미있는 생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감히 결론짓는다.
이번에 '몰입'을 선택해 봤다.
한참 유행했던 책 'flow'를 쉽게 강의형태로 바꾸어 놓은 듯 하다.
내용인 즉, 직장인들에게 의미있는 생활을 위해 몰입을 습관화 하자고 말하고 있다.
몰입을 통해 업무효율의 증대를 꾀하자는 취지로 만들었다는 것이 확연하지만,
실제로 몰입보다 더 중요한 개념은 '의미있는 생활'이다.
개인이 어떤 것이 의미있는 생활인지를 판단하고, 그것에 몰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직장생활은 몰입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자발적으로 발휘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주어진 일에 맞추어 생활하는 것이 더 중요한 시스템이지 않은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몰입하는 자세가 필요한 사람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개인의 몰입을 방해하는 것이 시스템을 유지하는 방편이 되고 있다는 것은
나만이 가진 생각은 아닐 것이다.
몰입이나 직장생활이나 어떤 패턴에 적응하는 사람들의 능력에는 타고난 차이가 있는 듯 하다.
나 개인의 경우는 개인의 문제에 몰입하는 외톨이 생활이 직장생활보다 더 쉽게 느껴지기에,
강의의 예에서도 보여진 것 처럼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경우지만,
그런 극단적 선택이 성공을 보장하리라는 시선에 시달리는 개인의 딜레마를 가지고 사는 것이고,
직장에 몸담고 있다면, 업무의 효율과 조화로운 인간관계사이, 개인의 능력과 팀웍의 딜레마 사이에서 살게 될것이다.
그저 각자 선택한 처지에서
각자의 목표를 향해 묵묵히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모습인 것을...
좀 더 잘하고, 좀 더 나아지려는 비교하는 생각들로 인해 마음에서 일어나는 욕심을 충족시키려고
다른 무언가를 또 찾아 헤메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몰입이라는 것을 남들보다 나아 보이려는 수단으로 이용하라고 독려하는 것 같아 씁쓸해진다.
어떤 것에 몰입하는 방법을 알기 전에 의미있는 생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감히 결론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