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_2009/OCT_09'에 해당되는 글 8건

  1. 2009.10.30 40년전 한국
  2. 2009.10.29 이사
  3. 2009.10.24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4. 2009.10.22 Moc bai economic zone
  5. 2009.10.12 사진자료
  6. 2009.10.08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7. 2009.10.08 퇴근시간
2009. 10. 30. 10:41
아침에 역시나 일찍 눈을 뜨다.
습관적으로 TV를 켜다.
아침 뉴스가 방송 중 이다.
그 중 한 꼭지, 40년 전 전쟁직후 우리나라에 와서 봉사를 했던
미국 Peace Corps 회원들이 그 시절의 사진을 모아 책을 냈단다.
원조와 봉사가 필요했던 나라가 이젠 제법 커서, 도와줘서 고맙다고 불러주는 상황이 되었으니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기특해해도 될 것 같다.
마지막 즈음에 한가지 맘에 머리에 걸리던 멘트 '그들은 한국을 여전히 사랑한다'....
그들은 그 시절 우리에게 사랑이란 이름으로 무엇을 했을까?
단지, 그들 개인적 경험의 일부를 추억하는 방법으로 사랑을 말하는 건 아닐까?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받았나? 우리는 그들의 활동을 사랑이라 부르는가?
나는 여기저기 다 사용되는 사랑이라는 단어보다 '인간적인 감정 교류'라 말하고 싶은데.
왠지 그렇게 표현하고 나면, 사랑이라는 단어에 포함되기도 하는 '희생을 동반할 수 있다'는 부분이 결여되는 느낌이다.
그래도, 아직 봉사를 위해 꼭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모든 살아있는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기본임을 알면서도 분석과 코드를 따지는 습관이 몸에 밴 나는
또 분석하고 계산하며 나만의 성 안에 살기를 고집하고 있음도 알고 있다.
그렇기에, 그들은 한국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어떻게 생활했을까가 제일 궁금하고,
무엇이 그들을 여전히 사랑한다고 말하게 하는지 알고 싶어진 것 일께다.

그 모든 편견과 고정관념의 시각을 벗어 던지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있을 무엇을 찾으려고, 배우려고 왔건만,
또 그것을 쉽게 망각하고 사사로운 일처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나의 모습을 매일 맞닥드린다.
봉사자의 태도라는 것이 꼭 자기 희생의 모습이지는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이들을 이해하는데 드는 노력의 시간이 왜 이렇게 힘들게 느껴지는 건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핑계거리를 찾으려고 하다 보면 시야가 좁아 진다는 것을 잘 안다.
더 넓게 크게 보고, 여유있는 태도를 가져야 하는데 아직 긴장이 풀리지 않는다.
생각해보니 영국에서의 5년도 한번도 긴장을 풀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
..
...
....
.....

( 결국 내가 찾으려고, 배우려고 했던 사람들과 어울려사는 일이라는 것이 바로 사랑이란 말인가?!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2947967

'임지_2009 > OCT_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  (0) 2009.10.29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0) 2009.10.24
Moc bai economic zone  (0) 2009.10.22
사진자료  (0) 2009.10.12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0) 2009.10.08
Posted by minial
2009. 10. 29. 16:34

3개월 15일의 호텔 방 생활을 접고 이제 장기적인 시·공간활용이 가능한 숙소로 이사를 하는 중이다.
아직, 이사 중이다.
28일에 이사 들어오겠다고 했건만, 이번 주 들어서면서 약속했던 일들을 처리하고 있는 이유로
아직 많은 일이 남아있다.  
가로 180 세로 170의 유리창이 4개나 두 벽을 장식한 공간에 커튼이나 스크린도 없이 들어가 살 수는 없고,
얼마나 오래됬는지 모를 매트리스 위에서 바로 잠이 오지도 않을테고,
옆 공간과 뚤려있는 천장쪽 10cm가량의 틈새로 날아드는 나방은 가장 두려우며 (나방가루 알러지 있슴)
높지막히 항상 열려있는 화장실 창문으로는 무엇이 드나들지 알 수 없는터.
가위질해서 방충망을 만들어 볼 심산으로 모기장을 사고 싶다고 말하자, 어디서 사는 지 모른다고 말하는 코워커.
그저 다 있다고만 한다. 그런데 알고보면 그렇지도 않고, 사달라는게 아니라 내가 사겠다는건데......
잠을 자는 것은 다음 주 부터나 가능하겠다.
가능하게되도 잠이 잘 올지는 미지수다. 호텔방도 3번을 옮기면서 옮길때마다 생기는 문제들로 편히 잠들지 못하고 있었는데,
앞으로도 그런 생활은 쭉~ 계속 될 것 같다.
어쨌든, 지금 대부분의 짐은 옮겨져 왔고, 호텔에서 쓸 것들 조금만 남은 상태다.

내일부터 2박 3일 호치민에가서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예정이다.
눈에, 맘에 쏙드는 물건들이 있어야 할텐데.
이제 시작이니, 공간에 정이 들고 내가 사는 모양새가 잡히려면 족히 또 다른 100일이 걸리리라.
음...주말에 맘에 드는 물건을 많이 건져올 수 있게 되기를!!!

'임지_2009 > OCT_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년전 한국  (0) 2009.10.30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0) 2009.10.24
Moc bai economic zone  (0) 2009.10.22
사진자료  (0) 2009.10.12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0) 2009.10.08
Posted by minial
2009. 10. 24. 19:19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1024032920 - 기사원문
세계 리포트

신영복 "함께 걸으면 길이 생깁니다"

[현장] 김제동,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기사입력 2009-10-24 오전 10:19:40

"제가 오늘 한 이야기는 여러분도 다 아는 이야기입니다. 학생이 모르는 걸 선생이 알려줄 순 없는 거죠. 대화라는 건 상대방도 알고 내가 아는 걸 꺼내서 한번 확인하는 겁니다. 그걸 통해서 서로 위로받기도 하고 격려하기도 하고, 또 작은 약속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제동,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강연자로 나선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는 담담한 어조로 1시간여 동안 진행된 강연회를 마쳤다. 30여 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민주넷 주최로 서울 중구 이화여고 1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신영복 교수 전국 순회 서울 강연회'에 참석한 400여 명의 청중은 일제히 박수를 보냈다.

신영복 교수는 이날 강연회에서 '석과(碩果)', '머리, 가슴, 발', '더불어 숲' 이 세 가지를 화두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청중이 한 번쯤은 생각해봐야 할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늘 그가 강조해오던 화두다.

신영복 교수가 이날 말했던 강연의 전문을 싣는다.

▲ 이날 강연회는 개그맨 김제동 씨가 사회를 맡았다. ⓒ프레시안

"사람을 키워내는 일, 그것이 가을을 견디는 일"

절박한 상황은 언제 석과가 떨어질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석과란 하나 남은 과실로 내년에 뿌릴 씨앗을 뜻합니다. 석과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석과를 지키기 위해서는 엽락(葉落), 즉 잎사귀를 떨궈 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거품을 거둬내는 것입니다. 환상을 청산하는 것. 더 나아가 우리가 갇혀 있는 '문맥'을 탈출하는 것입니다.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문맥'은 엄청납니다.

엽락을 하고 나면 나무가 드러납니다. 몸이 드러나는 거죠. 한 사회의 뼈대, 개인의 뼈대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한 사회의 정치적 주체성은 어느 정도인지, 경제적 자립 기반, 문화적 기능은 어느 정도인지, 환상에 가려서 안 보이던 것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떨어진 잎사귀, 엽락은 뿌리를 따뜻하게 하는 거름으로 작용합니다. '분본(䆏呠)'이라고 하죠. 가을에 필요한 일입니다. 여기서 '본'은 무엇일까요? 한 사회, 또는 한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본'은 사람입니다. 자기 자신이기도 하고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결국 사람을 키워내는 일, 그것이 가을을 견디는 일입니다. 사회에 가장 저력으로 묻혀있는 가능성을 키워내는 일이 중요합니다. 이 이야기에서는 그것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성과 논리로 세상과 사람을 바라보려 하는 '문맥'에 갇혀있다"

그럼 어떤 사람을 키워내야 할까요? '머리, 가슴, 발'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사람은 머리로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어떻게 알고 있을까요? 책에서 읽거나 선생에게 강의를 듣고, 신문, 텔레비전 등을 보고 압니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은 우리가 아는 인식은 주입된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 사회 상부에서 시스템을 장악하고 있는 사람에 의해서 주입된 게 반드시 있습니다. 이것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그 외에도 '문맥'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중세에는 마녀 처형으로 수십만 명에서 수백만 명의 마녀가 처형됐습니다. 처형당한 마녀 중에는 강압에 의한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자신이 마녀라는 것을 승인하고 처형당한 이도 많았습니다. 중세를 지배했던 마녀 '문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시대는 어떨까요? 냉정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 사회에는 근대 사회를 경고하며 쌓이고 쌓인 강고한 '문맥'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을 타자화하고 자연을 대상화하며 우리가 이성이라는 이름으로, 논리적으로 세계를 이해하려는, 근대적인 '문맥' 속에 우리는 갇혀 있습니다.

제가 감옥에 처음 들어갔을 때는 '왕따'였습니다. 30명이 감옥 생활을 했는데, 그 안에서 저는 한동안 다른 재소자들을 대상화해 분석을 하고 있었습니다. 결손 가족인지, 무슨 죄로 들어왔는지 등을 파악하면서 말입니다. 제가 완전히 근대 '문맥'에 갇혀 있었던 겁니다. 나중에 깨달았죠. 마치 근대와 전근대, 비근대를 대상화 했던 똑같은 논리를 제가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재소자들이 겉으론 아무리 친하게 대해도 실질적으론 왕따였습니다.

그러다가 작업장 등에서 수감된 사람들의 많은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그 사람이 걸어온 파란만장한 사연을 듣게 되자 '아, 나도 저 사람과 같은 부모를 만나 같은 경험을 했다면 같은 죄명을 가지고 저 자리에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구체적인 예를 이야기해볼까요? 제가 감옥에 있을 때 나이가 마흔쯤 된 친구에게 접견이 왔었습니다. 생전 편지도 받지 못하던 친구였는데 말입니다. 그 친구도 놀라고 같은 방 수감자들도 놀랐습니다. 접견을 마친 뒤 궁금해서 물으니 자기 또래 남자가 왔는데 자신의 엄마가 개가해 가서 키운 아이였다고 했습니다. 수감자의 엄마는 2살과 3살인 자식들을 삼촌 집에 맡기고 개가를 했던 겁니다. 엄마가 들어간 집은 남매를 두고 어머니가 죽은 집이었답니다. 엄마는 그 집에 가서 그 남매를 계속 키웠고 그렇게 자란 아들이 접견을 온 것입니다. 둘이 만나니 할 이야기가 없었습니다. 그 친구는 한참 침묵 후에 굉장히 미안해 하며 "만약 당신 어머니를 우리 어머니로 데려 오지 않았다면 내가 그 속에 있고 당신이 밖에 있었을 것이다"라고 했답니다.

그 이야기를 들으니 대상화, 분석화했던 나 자신이 얼마나 비인간적이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머리 아픈 거랑 마음 아픈 거랑 굉장히 차이가 나잖아요. 마음이 굉장히 아팠습니다. 그때부터 참 많은 사람들 이야기를 듣고 같이 이해를 하게 됐습니다.

"분석보단 아픈 마음을 이해하는 게 필요"

일흔 넘은 할아버지가 감옥에서 한 방을 사용했습니다. 저녁 시간 신입 수감자가 방에 들어오면 분위기가 냉랭합니다. 아무래도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니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재미있는 건 신입이 들어오면 노인네가 신입을 두고 '이리로 와보라'고 한 뒤 자신의 70 평생 이야기를 한다는 겁니다. 이 이야기는 신입이 들어온 지 하루가 안 돼서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하루가 지나면 이 노인이 별 볼일 없는 게 파악되기 때문에 신입이 듣지 않습니다. (웃음)

노인의 이야기를 매번 신입이 들어올 때마다 들었습니다. 한 4~5년 정도였죠. 그렇다보니 외울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근데 시간이 지날수록 노인의 부끄러운 부분은 빠지고 자랑하는 부분은 부풀려지는 걸 알 수 있었죠. 그 이야기를 들으며 만약 저 분이 자기 인생을 다시 시작한다면 실제로 살았던 삶이 아닌 각색한 삶을 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자기 인생 이야기를 각색했다는 건 약간의 반성도 있고 이루지 못한 소망도 있다는 것이기에 말입니다.

그 노인을 사실의 주인공으로 이해할 것인가, 각색된 삶의 주인공으로 이해할 것인가를 상당히 고민한 적이 있습니다. 노인의 사실대로의 삶을 파란만장한 우리 현대사가 각색한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분석과 이성적 판단보다는 아픈 마음을 열고 그를 이해하는 게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머리에서 가슴까지는 가장 먼 여행입니다. 여기까지 가는 동안 나는 5~7년 걸린 듯합니다. 그때서야 감옥에서 왕따를 면했습니다.

▲ 이날 강연회는 개그맨 김제동과 신영복 교수를 보기 위한 청중으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프레시안

"우월감을 버리고 자기를 변화시키며 관계를 건설해야"

머리에서 가슴으로 이동했다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건 아픈 마음을 자기 삶 내의 깊숙한 곳에 들여 놓는 것, 즉 관계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발'이라고 칭하겠습니다.

근대 사회가 냉정한 개인의 존재성을 중요시해서 개인의 자유와 독립, 해방을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개인주의가 계속되면서 폐단이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구 사회는 근대 사회가 도달한 최고의 가치가 톨레랑스라고 합니다.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고 공존하는 것 말입니다. 하지만 톨레랑스가 최고의 덕목인지는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수감자들의 파란만장한 삶에 대해 굉장히 마음 아프고 충분히 이해하고 나도 그 자리에 서 있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그 사람에 대한 연민, 우월감, 차이…. 이런 것을 버리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톨레랑스도 마찬가지입니다.

감옥에 있을 때 같이 있던 친구 중 이름이 '대의(大義)'라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참 좋은 이름이라고 생각해서 그 사람 볼 때마다 '당신 아버지가 참 속상하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서른도 안 됐는데 절도 전과가 3개나 됐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친구에게 어느 날, 이름을 누가 지었느냐고 물으니 굉장히 기분 나빠 했습니다. 알고 보니 돌이 채 되기도 전에 광주도청 앞 대의동 파출소에 버려져 그냥 '대의'라고 이름 지어졌기 때문이었습니다. 충격을 받았습니다. 문자를 통해 그 사람을 읽으려 했던 나의, 먹물들의 관념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고 느꼈습니다.

또 예를 들어볼까요. 나이 많은 목수가 집 그림을 그릴 때는 주춧돌을 먼저 그리고 제일 나중에 지붕을 그립니다. 이걸 보고 굉장히 충격을 받았습니다. 일하는 사람들은 집짓는 순서대로 그림을 그린다는 사실이 놀랐습니다. 책, 학교, 교실에서 자기 인식을 키운 저는 지붕부터 집을 그리는데 말입니다. 이런 관념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차이라는 건 서로 존중하고 공경할 것이 아니라 차이야 말로 자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대단히 감사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변화해야 합니다.

"변화하지 않고 소통은 불가능"

변화하지 않고는 지금 화두가 되어 있는 소통은 불가능합니다. '그래 네가 말해봐라, 내가 들어볼께' 식은 소통이 절대 안 됩니다. 자기와 다른 사람의 의견이 자기 의견 변화에 중요한 계기가 될 때만이 소통이 가능합니다. 변화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모든 살아있는 것은 변화하고 있습니다. 자기 영토를 고집하고 그 영토의 기득권을 지키려는 모든 기득권은 변화를 거부합니다. 자기 서버를 지키는 데 몰두하는 웹 1.0세대입니다.

이와는 다르게 젊은 세대의 정서는 웹 2.0으로 갔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서버인 셈입니다. 정서가 전혀 다릅니다. 그래서 가슴에서 발까지, 또 하나의 긴 여행, 어떻게 하면 나 자신의 관념성을 버리고 저 사람들을 배울 수 있을까. 안다는 게 많은 지식을 가진다는 걸 말하진 않습니다. 생각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문맥'에 갇혀 있는 걸 뚫고 나와야 합니다.

교도소에서는 담배를 못 핍니다. 그래서 담배 값이 굉장히 비쌉니다. 직원 사무실 청소하러 가는 젊은이들이 교도관 재떨이에 꽁초를 줍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걸 잘 아는 직원들은 재떨이에 물을 가득 부어 꽁초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젊은이들은 물에 빠졌지만 다행히 풀어지지 않은 담배를 가져와 말린 뒤 팔거나 핍니다. 맛이 좀 심심합니다.

말린 담배 꽁초의 이름이 무엇인지 아시겠습니까. 여러분이 이름을 지으면 심심하겠지만. (웃음) 교도소에서는 '심청이'라고 불렀습니다. 미적 감각이 뛰어났습니다. 애정, 공감에 머무르지 않고 적극적인 관계를 만들 수 있을 때만이 진정한 자기 변화, 자신을 키워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무의 완성은 명목이 아닌 숲"

어떻게 관계를 만들까요? 숲을 만들기 위한 과제이기도 합니다. 우리 사회 많은 사람들이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 아직도 근대적인 사고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논리 중심으로 뭔가 자기 이념을 강요하려는 근대 '문맥'에 갇혀 있습니다.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속해서 변화해야 합니다. 사람들 정서를 정확히 읽을 수 있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제가 얼마 전 오대산을 갔습니다. 오대산 저쪽으로 흐르는 물은 북한강, 이쪽으로 흐르는 물은 남한강이 됩니다. 대단히 먼 여행입니다. 반면 오대산 바위, 즉, 웹 1.0 바위는 자기 정체성이 매몰되어 있는 바위입니다. 멀리 못 갑니다. 거기 그대로 있기 때문입니다. 시냇물은 강물을 만나면 자신이 강물이 됩니다. 강물은 바다를 만나면 바다가 됩니다. 부단히 변화합니다. 자기 영토성, 이해관계를 버리고 꾸준히 변화하는 유목주의, 그게 근대를 벗어나는 탈근대의 화두입니다. 우리 자신은 물론이고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입니다. 변화하면서 소통하고, 점점 바다로 가야지 자기는 변화하지 않고 톨레랑스, 즉 근대 패러다임의 변형을 말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이가 변화해서 숲으로 가야 합니다. 사실 '발'이라는 건 변화의 상징이기도 하고 우리 삶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머리에서 가슴으로, 가슴에서 발로. 이게 하나의 나무라면 나무의 완성은 명목이나 낙락장송이 아니라, 숲입니다. 나무의 최고 형태는 숲입니다. 숲을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혼자서는 안 됩니다.

"사회를 바꾸진 못했지만 나 자신은 바꿨다"

길고 긴 여행(수감 생활)을 마치니 20년이 걸렸습니다. 마칠 즈음 저는 근대적인 '문맥'에서 나 자신이 시원하게 벗어났다고 생각했습니다. 단순한 연민, 공감, 공존의 근대적 변형을 뛰어넘고 뭔가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만들어 냈다고 생각했습니다. 자기 개조를 이뤄냈다고 생각합니다. 실천가들이 사회를 바꾸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자기를 바꾸는 것에는 실패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저는 사회는 바꾸지 못했지만 나 자신은 바꿨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감옥에서 출소한 뒤 친구들은 저보고 칭찬하느라 그런지 '너 하나도 안 변했다'고 했습니다. 옛날과 똑같다고 했습니다. 칭찬인가 뭔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웃음) 크게 변한 부분은 눈에 띄지 않습니다.

여럿이 함께 가면 됩니다. 가치 지향이 없으면 문제라고 하는 이도 있지만 함께 가면 길은 등 뒤에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계몽주의 사고가 도처에 남아 있습니다. 이상주의가 도처에 남아 있습니다. 여럿이 함께 가면 길은 저절로 생깁니다. 누군가에게 스승이기도 하지만 누군가에게 제자이기도 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함께 갑니다. 여기 모임도 숲이라고 생각합니다. 움직이는 숲. 감사합니다.

/허환주 기자

'임지_2009 > OCT_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년전 한국  (0) 2009.10.30
이사  (0) 2009.10.29
Moc bai economic zone  (0) 2009.10.22
사진자료  (0) 2009.10.12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0) 2009.10.08
Posted by minial
2009. 10. 22. 10:05
Another duty-free store opens in Tay Ninh

Last Update: 09:49 a.m. (GMT+7), Tuesday, May 19, 2009

Tuoi Tre, VNA

The third and largest duty-free market in the Moc Bai border economic zone that links Vietnam and Cambodia opened on Sunday.

The VND100 billion (US$5.6 million) Winmart superstore in the zone in southern Tay Ninh Province will stock 20,000 items, including food, cosmetics, clothes and household appliances.

About 30 percent of the goods in the 7,200-square-meter market will be imported.

General Director of Winmart owner Thien Linh Co., Huynh Cong Thien, told Vietnam News Agency the prices of imported items would be 10 to 15 percent lower than market prices because the goods were exempt from import tax, special consumption tax and value added tax (VAT).

The price of made-in-Vietnam goods would also be cheaper because they will be exempt from VAT.

Winmart is expected to generate daily sales of VND500 million ($28,113), with about 60 percent of customers expected to be Cambodian, Thien said.

More than 60 enterprises are licensed to sell duty-free products at the Moc Bai border economic zone, which receives 6,000 to 10,000 visitors and shoppers every day.

http://vietnewsonline.vn/News/Business/6102/Another-duty-free-store-opens-in-Tay-Ninh.htm

---------------------------------------------------------------------------------------------------------------------------------------------------------------------------


Vietnam suspends border duty-free ban until 2012

Bill Lumley

9-Jul-2009

Government announces border duty-free shops may continue operating until 2012

The Vietnamese government has granted a reprieve to the country's border duty-free shops to sell  tax-free goods to Vietnamese citizens until 2012.

Head of the Moc Bai border checkpoint along the Cambodian border in Tay Ninh province Phan Minh Thanh told the Vietnamese Communist Party newspaper SGGP that business had declined at most duty-free shops since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Vietnamese shoppers would not enjoy the tax waiver from July 1.

In March DFNI reported that duty-free retailers in Vietnam were awaiting clarification of the new duty-free regulations set to be introduced from July 1. Operators in the country claimed the new law threatened to outlaw arrivals duty-free.

According to the authorities, several border stores that have closed since March will now reopen once a formal dispatch from the government has been received.

The proposed regulations stated that only travellers leaving the country, passengers in transit and passengers on international flights of Vietnamese carriers and joint ventures are entitled to buy duty-free goods.

The best-selling products in Vietnamese arrivals stores are electronic goods.

http://www.dfnionline.com/article/Vietnam-suspends-border-duty-free-ban-until-2012-1858861.html


---------------------------------------------------------------------------------------------------------------------------------------------------------------------

ADB to finance $104m to Laos, Vietnam and Cambodia Sep 17, 2009

VNBusinessNews.com - Asian Development Bank (ADB) has announced that the bank would offer loans worth $104 million for investment projects in Vietnam, Laos and Cambodia.

The 2nd economic corridor forum of Greater Mekong Sub region officially started on Sep 16 in Phnom Penh with the participation of China, Laos, Myanmar, Thailand and Vietnam.

The main content of GMS economic forum is to carry out the corridor city development projects (CTDP) in the region funded by ADB.

Arjun Goswami, ADB's representative said that the basis of implementing the CTDP projects was to turn out the key transportation corridors in the region into economic ones.

In order to realise this target, ADB will offer funds for GMS countries to take full socio-economic advantages by promoting commercial trading and traffic network development activities.

As planned, ADB will raise capital sources of $104 million to focus on investment projects in Vietnam, Laos and Cambodia.

Vietnam will become the south economic corridor (SEC) and East West Economic Corridor (EWEC) with Lao Bao Town and Dong Ha Town in Quang Tri province and Moc Bai Town in Tay Ninh province.

Cambodia will focus on the south economic corridor, including Poipet Border gate, Battambang City, Svay Rieng City and Bavet Border gate, in Svay Rieng city.

Laos will concentrate on developing the East-West economic corridor with Kaysone Phomvihane economic area, Phine town in Savanakhet province and the Savanakhet provincial economic area.
ADB set priorities in developing the agricultural and industrial sectors, tourism, constructing infrastructure works such as roads, bridges, and sea port for the cities and towns mentioned above.

The total loans will be disbursed by ADB for all three countries, including Vietnam ($52 million); Laos ($26 million) and Cambodia ($26 million).



http://www.vnbusinessnews.com/2009/09/adb-to-finance-104m-to-laos-vietnam-and.html

'임지_2009 > OCT_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  (0) 2009.10.29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0) 2009.10.24
사진자료  (0) 2009.10.12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0) 2009.10.08
퇴근시간  (0) 2009.10.08
Posted by minial
2009. 10. 12. 03:27

'임지_2009 > OCT_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0) 2009.10.24
Moc bai economic zone  (0) 2009.10.22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0) 2009.10.08
퇴근시간  (0) 2009.10.08
추석  (0) 2009.10.04
Posted by minial
2009. 10. 8. 21:13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was chosen as one of the top ten blogs for writers – a first-time honor. Thank you Michael Stelzner for hosting this competition, which brings all sorts of writing blogs together, and for accepting Quips and Tips!

Here’s a list of all the winners, first with Michael’s thoughts about each and then with my own input. Whether you’re into blogging, freelance writing, or fiction writing, you’ll find a blog gem here…

Also, I want to feature Darren Rowse and Chris Garrett’s Problogger: Blogging Your Way to a Six Figure Income. I’ve learned alot from those two professional bloggers; click on the cover for more info. And, read on for a list of Stelzner’s top ten writing blogs…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Copyblogger: This site is the heavyweight champion of the world four years running (and one of the top blogs on the planet)! The brain-child of Brian Clark, his blog keeps winning because of its insightful articles.

  • Can you believe I’m not following the number one blog for writers?! Shame on me; the situation is now rectified…

Men With Pens: James Chartrand and Harry McLeod maintain the number two slot with their inspiring content and rich community discussion.

  • From Laurie PK: Blog readers love Men With Pens! They’re a wonderful example of loyalty and community in action.

Write to Done: This blog nearly always delivers a home run with its excellent articles for all writers and is the product of top blogger Leo Babauta.

  • From Laurie PK: Write to Done regularly features Mary Jakesh, whom I love reading. And, Leo Babauta wrote a book and created a blog about zen habits and the art of simplicity.

Editor Unleashed: Inspired by the former Editor-in-Chief of Writer’s Digest, Maria Schneider explores writing, social media and community on her excellent blog.

  • From Laurie PK: I usually wish I’d written what Schneider did…but the good news is she also has a list of top blogs for writers – which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is on. :-)

Freelance Writing Jobs: This site is the first stop for freelance writers seeking new work and great articles (and it remains a top winner since this contest began). Congrats Deb Ng!

  • From Laurie PK: I recommend following Deb Ng on Twitter – her tweets range from her kid’s exploits to her observations about other writers and bloggers.

Confident Writing: Joanna Young delivers rich and useful articles that will help you take your writing to the next level.

  • From Laurie PK: I hadn’t heard of Confident Writing until now, and I look forward to reading more of Young’s work!

Urban Muse: Susan Johnston covers a wide range of excellent topics that all writers will enjoy.

  • From Laurie PK: Susan and I write guest posts for each other every month; I especially enjoy her invitations to give feedback on specific questions (I think the last was “how do you ask for a raise as a freelance writer?”).

WordCount: Journalist Michelle Vranizan Rafter explores the challenges freelance writers face on her excellent blog.

  • From Laurie PK: This is another writing blog I’ve never heard of – which is the beauty of these contests about top 10 writing blogs.

Quips & Tips for Successful Writers: A true cornucopia of ideas for writers, Laurie Pawlik-Kienlen provides endless content and freelancing tips.

  • From Laurie PK: This is me! What can I say? I love blogging. :-)

Fuel Your Writing: This site will certainly fuel you! Michelle Krasniak Oxman and her huge team of contributors provide great content for writers.

  • From Laurie PK: I can’t believe how well-rounded and informative this writing blog is…it’s incredible.

'임지_2009 > OCT_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0) 2009.10.24
Moc bai economic zone  (0) 2009.10.22
사진자료  (0) 2009.10.12
퇴근시간  (0) 2009.10.08
추석  (0) 2009.10.04
Posted by minial
2009. 10. 8. 18:25
매일 매일 출근하는 나는 퇴근시간이 있다.
오전7:30에 출근 11:00-2:00 점심시간 4:30 퇴근.
오늘같이 퇴근시간 15분 전부터 검을 먹구름이 가득하면
심난해진다. 비가 오기전에 호텔로 가야 하는데.....
한 번 오기시작하면 한 시간 정도는 정신없이 쏟아 붓는 통에 나설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오늘 정시 퇴근은 글렀다.
바람이 선선한걸 보니 다른 곳에 이미 내리고 있는 모양이네. 잘하면...갈 수도 있겠다.

그래도 9월 이후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덕에 살만해졌다.
내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간 땡볕아래 지낼 생각을 하니 지레 걱정부터 되긴 하지만,
그 날이 오기 전까진 이 선선함을 만끽해야지.
해를 덜봐서 살갗도 덜 탄다.

어느새 여기서 잠자기 시작한지도 84일째다.
좀 있으면 그 첫번째 고비인 100일이 지나갈 것이다. 
그리고나면 6개월, 1년, 2년....고비들을 지날때마다 이곳의 무언가를 더 많이 알아가겠지.

아! 종쳤다. 얼른 가자!

'임지_2009 > OCT_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0) 2009.10.24
Moc bai economic zone  (0) 2009.10.22
사진자료  (0) 2009.10.12
A Top 10 Writing Blog – Quips and Tips for Successful Writers  (0) 2009.10.08
추석  (0) 2009.10.04
Posted by minial